정부지원사업4 육아휴직급여의 통상임금 기준 육아휴직급여의 산정 시 통상임금은 어떻게 되는 것일까?먼저, 개선된 육아휴직급여 상세 내용 올려드리고 시작하겠습니다. 2025년 육아휴직제도 개편으로 육아휴직급여의 최대 상한액이 인상되고, 육아휴직 기간도 확대되었습니다. 혜택이 늘어나면서 육아휴직을 사용하는 근로자도 점차 증가하고 있는데요. 오늘은 최근 문의가 많은 육아휴직급여의 기준이 되는 통상임금이 무엇인지, 그리고 어떻게 육아휴직급여에 적용되는지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기본적으로 육아휴직급여의 산정은 육아휴직 시작일로부터 최근 3개월의 통상임금을 기준으로 급여를 산정합니다. 통상임금은 정기성, 일률성, 고정성 3가지 기준 하에 소정근로의 대가로서 근로자에게 주어지는 임금을 뜻했습니다. 하지만, 최근 통상임금에 대한 대법원의 판결로, 정기성, 일률성.. 2025. 2. 25. 6+6 부모육아휴직제 총정리(3+3육아휴직 확대) 워킹맘&워킹대디 주목! 6+6 부모육아휴직, 놓치면 손해!💰육아와 직장 생활을 병행하는 모든 부모님들을 위해 오늘은 2024년 새롭게 시작된 6+6 부모육아휴직제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육아휴직 급여가 최대 450만원까지 지원된다고 하니, 지금부터 꼼꼼하게 살펴보시고 지원금 꼭 챙겨가세요! 부/모 각각 최대 1,950만원총 3,900만원 지원금 지급 6+6 부모육아휴직제, 뭐가 달라졌을까?🤔 먼저, 육아휴직 대상은 임신 중인 여성 근로자나, 8세 or 초등학교 2학년 이하 자녀를 가진 근로자입니다. 그리고, 육아휴직 대상자에서도 6+6 부모육아휴직제를 활용할 수 있는 기준이 별도로 있는데요! "생후 18개월 이내 자녀를 둔 맞벌이 부모" 정확히는 17개월 xx일, 18개월차가 되기 전의 자녀.. 2024. 8. 22. 국가 소멸 위기, 정부의 인구비상사태 선언과 저출산대책 발표(2부) 이전 1부에서는 저출산으로 인한 국가 소멸 위기에 대처하는 대책 중 일·가정 양립과 교육·돌봄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2부에서는 어쩌면 저출산을 이끌어낸 가장 큰 원인 중에 하나인 주거 및 결혼·출산·양육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개인적으로 주거와 결혼, 출산과 양육 정책이 저출산 대책의 핵심이지 않을까 생각을 하는데요. 좋은 정책으로 OECD 중 압도적인 저출산 1위의 오명에서 점차 벗어나는 대한민국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주거 및 결혼·출산·양육주택 공급 정책 개선분양 청약 완화공공·임대주택 지원결혼·출산 인센티브임신 지원 주택자금을 지원 정책의 소득 요건이 완화됩니다. 신혼부부 전세자금은 부부합산 소득 연 7.5천만원 → 1억원으로 완화됩니다. 부부합산 소득 7.5천만원은 결혼 적령기인 30대로.. 2024. 7. 10. 국가 소멸 위기, 정부의 인구비상사태 선언과 저출산대책 발표(1부) 오늘의 한 줄 요약• 정부가 국가비상사태를 선언하고 저출생 총력 대응을 선언했어요.• 육아휴직 제도 개편, 교육 양육 돌봄 및 주거 대책을 들고 왔는데요.• 실효성있게 바뀐 제도도 있지만 아쉽다는 평가도 듣고 있어요. 지난 6월 19일, 윤석열 대통령이 '인구 국가비상사태'를 공식 선언했습니다. 정부가 저출생에 대응한다며 2006년부터 지금까지 쓴 예산이 무려 380조원에 달하지만, 지난해 4분기 합계출산율은 0.65명, 지난 1분기도 0.76명으로 역대 최저치를 달성하니 이제서야 발등에 불이 떨어졌나봅니다. 뒤이어 7월 1일 정부는 인구전략기획부와 저출생대응수석을 신설안이 포함된 '정부조직 개편방안'을 발표했습니다. 10여개의 관계부처가 중복하여 진행하던 저출산 대책을 톱다운으로 컨트롤하겠다는 의도인.. 2024. 7. 6. 이전 1 다음